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심텍4

[IT의 神, 이형수 10/06] 마이크론 실적발표와 수혜주는? (EUV, DDR5, HBM 관련주) 2차전지/반도체/디스플레이/물류까지 팔방미인에 실적반등까지 기대되는 기업 '에스에프에이' [최근시장상황 및 투자전략] 곳곳에서 확인되는 반도체수요 □ 마이크론실적발표 1. 마이크론 3Q 실적발표, 매출 40.1억$ / EPS –1.07$ 기록 → 컨센대비 적자폭 소폭 축소 2. 24.4Q 가이던스 매출 44억$ / EPS –1.07$ 제시 → 시장 기대대비 부진, 시간외 –4% 하락 (컨퍼런스콜 : 1b 멀티패터닝) 1. 컨퍼런스콜에서 1a/1b D램 생산비중 확대 언급 → 아이폰15에 1b공정 적용된 마이크론 LPDDR5/5X가 탑재 2. 애플에 탑재됬다는 것은 1b 공정 (12나노)에서는 마이크론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의미 3. 마이크론, EUV 사용하지 않고 ‘멀티 패터닝’ 만으로 1b 구현 3-1. 하지만, 멀티패터닝은 한계가 분명 → EUV 앞서있는 삼성전자, SK하이닉스가 긍정적.. 2023. 10. 16.
[23.10월 테이버 관심종목] 스튜디오드래곤, 신세계 I&C, 신흥에스이씨, 심텍, 쌍용C&E, 쏘카, 쏠리드, 씨앤지하이테크, 씨에스윈드, 아모그린텍 [테이버] □ 스튜디오드래곤 (강점) : 매출 조금씩 증가세, 영업이익률 견조 (단점) : 지나치게 비싼가격 per 40배 → 적정한 수준으로 내려오려면 매출 1.5조까지 증가필요 (현재 7,500억) : 배당 없음 : CJ 그룹의 위기(?) → 대한통운, CJ건설, CJ ENM, CJ CGV 등 사업부진 □ 신세계 I&C (강점) : 매출, 영업이익 꾸준히 증가 (단점) : 포스코DX, 삼성SDS, 롯데정보통신과 같은 그룹의 IT 담당 → 내부거래로 벨류에이션 낮음 (영업이익률도 낮음) : 배당도 낮음 □ 신흥에스이씨 (강점) : 2차전지 알류미늄 깡통 제조 (삼성향 납품) → 매출은 꾸준히 증가, 영업이익률 견조 (단점) : 혁신이 부족. 동일한 사업에 의도치 않게(?) 2차전지 수혜 □ 심텍 (강점.. 2023. 10. 9.
[IT의 神, 이형수 9/08] 역발상 투자, 반도체 실적이 가장 부진한 곳은 어디? 턴아라운드가 관찰되는 기업 (Feat. 심텍) [최근시장상황 및 투자전략] 오히려 실적이 바닥일때가 매수할 기회? □ 바닥이 보이는 PC 반도체 수요 1. 반도체 수요 = 서버 + 모바일 + PC로 구성 2. 서버의 경우 HPC (AI용 서버 → 엔비디아 GPU 사용) + 일반 (엔터프라이즈 향 → 인텔 CPU 기반 서버) 2-1. HPC 서버는 엔비디아 → SK하이닉스 수혜 → 한미반도체까지 수혜 2-2. 현재까지는 HPC 서버만이 수요 증가세 3. 최근, PC 쪽에서 반도체 수요 증가 움직임 관찰 → ‘Dell’ (PC 3위업체) + ‘인텔’ 긍정적 3-1. 코로나 시기 집중되었던 PC 교체사이클 도래 → 노브툭 PC, 태블릿 PC 3-2. 현재 PC수요, 23년 YoY 기준 –15% 역성장 전망 → 2.5억 ~ 2.6억만대 3-3. 인텔, De.. 2023. 10. 2.
[IT의 神, 이형수 6/20] 애플15, 비젼프로를 통해 확인된 애플실리콘 강화. TSMC에 이어 삼성전자, 소부장까지 수혜 확대되나? 반도체 사이클, 장비/소재 다음은? 반도체기판 관련주 '심텍' + '대덕.. [최근시장상황 및 투자전략] 강화되는 애플 생태계와 반도체 사이클 장비, 소재 다음 순서는? □ 아이폰 15와 비젼프로 (MR 헤드셋) 공개 (아이폰 15) 1. 아이폰 15시리즈 부터 UWB (Ultra-wideband : 높은 주파수서 낮은 전력소비로 작동하는 무선통신 프로토콜) 강화예정 2. 정확한 위치 확인, 통신성능 향상에 기여 3. 애플 실리콘 라인업 중 하나로 UWB 칩의 이름이 'U1' (비젼프로) 1. 비젼프로 (MR 헤드셋) 공개 때 M2, R1 칩 공개 → R1 또한 새로운 애플 실리콘 라인업 中 하나 1-1. 비젼프로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2. 메인통신은 5G, 기존 실내통신에서는 WI-FI 6 사용 → 아이폰 15부터 WI-FI7으로 변경 2-1. 기존 대비 속도 2배 빠름.. 2023. 6. 24.
반응형